본문 바로가기
영어회화

그때 ~했어야 했는데 영어로? I knew I should've 의미, 활용법, 미드 속 표현 정리까지!

by flow in world 2025. 3. 26.
반응형

 

안녕하세요 영어 공부하는 플로우 입니다.

요즘 다들 바쁘지는 않나요? 저는 굉장히 바쁘게 살고 있는 것 같아요!

오랜만에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하니까 시간이 금방 금방 가는 것 같네요. 그래서, 영어 공부를 많이 못하고 있어서,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공부하는 루틴을 만들어볼까 합니다! 

저의 잡담이 길었나요?

 

오늘은 "I knew I should've ~~" 라는 영어 표현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. 이 표현은 일상회화 속에서 자주 쓰이는 영어 표현 중 하나로, 이미 지나간 일에 대해 ‘그때 ~했어야 했는데’라는 아쉬움이나 후회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.

영어 공부를 하다 보면 이 표현을 미드나 영화 속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데요, 문법적으로는 조동사 should have + 과거분사 구조와 함께 사용됩니다. 오늘은 이 표현의 정확한 의미와 활용법, 그리고 실제 미국 드라마 속 활용 예시까지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!!


1. 이미 지나간 후회의 표현 - should've의 의미

우선 "I knew I should've"는 과거의 결정을 되돌아보며, '내가 그때 그렇게 했어야 했는데'라는 후회의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. 여기서 핵심 문법 구조는 **should have + p.p(과거분사)**인데요, 이 구조는 이미 지나간 상황에 대한 후회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.

 

예를 들어 “I knew I should've called her”는 직역하면

“나는 그녀에게 전화했어야 했다는 걸 알고 있었어”가 되며,

자연스러운 해석은 “아, 전화했어야 했는데…” 정도가 됩니다.

 

이 표현은 단순히 'should've'만 쓰는 것보다 **'I knew I should've'**로 쓰면 이미 후회를 인지하고 있었음을 강조하는 효과가 있어 회화에서 감정 표현에 매우 효과적입니다.

또한 ‘그때 그렇게 했어야 했는데’라는 표현은 어떤 행동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한 아쉬움뿐만 아니라, 그 결과로 현재 어떤 일이 벌어졌다는 복합적인 맥락도 담고 있어 다양한 상황에 적용이 가능합니다.

 

이번 표현은 새로운 단어나 구동사가 아닌, 문법과 관련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! 


2. 실생활 영어 회화에서의 활용법

"I knew I should've"는 다양한 문장에 활용할 수 있으며, 아래는 실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예시입니다:

  • I knew I should've studied more.
    (공부 좀 더 했어야 했는데…)
  • I knew I should've taken a jacket.
    (재킷 챙겨야 했는데…)
  • I knew I should've said no.
    (거절했어야 했는데…)

이 구조는 특히 시험, 연애, 여행, 직장 등 다양한 상황에서 후회를 표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또한, "I thought I should have..."처럼 비슷한 표현과 혼동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
 

"I thought I should have..."는 단순한 추론 또는 판단을 의미하고,
"I knew I should've..."는 그 행동을 하지 않아서 생긴 후회에 더 집중한 표현입니다.

또 하나의 팁은 감정 강조입니다. 말투에 따라 억양을 넣거나, 앞에 "Ugh..." 혹은 "Damn..." 등을 붙이면 더욱 자연스럽고 감정이 실린 표현이 됩니다.


3. 미국 드라마 속 'I knew I should've' 표현 예시

이 표현은 실제 미국 드라마에서 매우 자주 사용됩니다. 특히 감정의 흐름을 강조해야 하는 장면에서 자주 등장하죠.

 

1. Friends (프렌즈)

  • Chandler가 연애에서 실수했을 때:
    “I knew I should've told her earlier.”
    좀 더 일찍 말했어야 했는데…

2. How I Met Your Mother (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)

  • Ted가 로맨스를 놓친 후:
    “I knew I should've gone to that party.”
    그 파티 갔어야 했는데…

3. Grey’s Anatomy (그레이 아나토미)

  • 의사들이 중요한 수술 후에:
    “I knew I should've double-checked the chart.”
    차트 다시 확인했어야 했는데…

이처럼 "I knew I should've"는 후회나 반성을 드러낼 때 매우 효과적이며, 감정 몰입이 중요한 드라마에서 빼놓을 수 없는 표현입니다.
자신이 좋아하는 미드에서 이 표현이 나오는 장면을 찾아보고, 상황과 함께 기억해두면 더 오래 기억에 남을 수 있습니다.


4. 결론: 영어 회화 속 감정 표현의 핵심, I knew I should've

"I knew I should've ~~"는 영어 회화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, 단순한 문법 이상의 감정과 상황을 담아낼 수 있는 강력한 표현입니다. 후회, 아쉬움, 반성 등 다양한 감정을 섬세하게 전달할 수 있어 미드나 영화, 실제 회화에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구조이기도 합니다. 일상 속 작은 후회에서부터 큰 결정에 이르기까지, 이 표현을 적절히 활용해보세요!!!

반응형